학과소개
- 원예 전공에서는 채소, 과수, 화훼, 토양, 시설원예, 육종 분야의 이론과 기술은 연구하고 교육한다
- 원예작물의 품질향상을 위한 토양관리, 병해충 예방과 치료, 스마트팜 생산시스템 개발, 친환경 농법 기술 개발 등의 내용을 학습하고, 지속가능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다
학과장점
- 현장실무형
인재 양성을 위한
다양한 현장실습
및 교육 운영 - 친환경 및 스마트팜
전문가 양성을 위한
다양한 교과목 운영
및 실습농장 보유 - 전공 관련 자격증
취득을 위한
자격증 대비반 운영 - 수업 및 대학 4-H동아리
활동을 통한 다양한
재능기부
봉사 경험
교과과정
학년 | 교과과정 |
---|---|
1학년 | 원예산림개론, 기초생물 및 화학 |
2학년 | 유전학, 작물생리학, 친환경채소재배학및실습, 친환경토양비료학및실습, 화훼학 및 실습, 재배학원론, 바이오통계학, 친환경원예및토양관리 |
3학년 | 식물육종학, 친환경 채소이용학 및 실습, 친환경생물 농약이론 및 실제, 농업경영 및 창업실무1, 시설원예학 및 실습, 식물조직배양 및 번식학 실습 |
4학년 | 신품종개발학, 원예생명공학, 원예치료학, 조원식물학, 스마트친환경농업환경 및 GIS관리. 원예작물수확후관리론, 스마트식물공장운영및관리학 |
전공 관련 자격증
- 종자기사
- 식물보호기사
- 유기농업기사
- 시설원예기사
- 화훼장식기사
- 농수산물경매사
- 농산물품질관리사
- 농산물손해평가사
졸업 후 진로 및 진출 현황
- 정부부처 및 지자체(국·공립연구소)
- 농촌진흥청(국립원예특작과학원, 국립농업과학원, 국립식량과학원), 산림청, 국립종자원,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,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, 국립식물검역소, 산림과학원, 산림환경연구소, 생명공학연구소, 국립생물자원관, 도 농업기술원 및 시군 농업기술센터 등
- 공사 및 공기업
-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, 한국농어촌공사, 농협 등
- 기업체
- 농약, 비료, 종묘, 제약, 환경관련 기업체 또는 연구소, 원예자재회사, 시설원예관련회사, 사회복지기관(원예치료)
- 창업
- 스마트팜 창업, 농약 및 종묘업체, 조경수목원, 조직배양묘생산, 화원(플로리스트), 원예치료업(치유농업)
우수취업사례
-
17년도 졸업생 기 OO 2019년 농업연구사 임용
- 학과교수님들의 전공강의, 자격증 특강, 산업체 현장견학을 통해 자격증 준비와 농업연구사가 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하였습니다. 학과에서 진행되는 교과과정과 다양한 비교과프로그램이 농업연구사를 준비함에 있어,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. 현재는 전북농업기술원 농업연구사로 채소분야 혁신기술 경영성과 분석연구를 맡아 근무하고 있습니다
학과 Q&A
- Q. 어떤 분야로 취업이 가능한가요?
- 농업 관련 공공기관(연구시설 및 기관)에 취업을 하는 경우가 많고, 스마트팜 분야의 창업과 시설관리자로 취업분야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 또한 화훼장식이나 원예치료, 치유농업 분야로도 취업 범위가 넓혀지고 있습니다.